목차
1. 테니스엘보란?
테니스엘보(Tennis Elbow)는 의학적으로 '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이라 불리며, 팔꿈치 바깥쪽 돌출 부위인 외측상과에 발생하는 힘줄의 염증 또는 미세 손상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주로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테니스 선수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팔 사용이 많은 직업군에서도 흔히 발생합니다.
2. 테니스엘보 원인
테니스엘보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십견 증상에서 치료방법까지
목차오십견이란 무엇인가요?오십견 증상오십견 원인오십견과 혼동하기 쉬운 질환오십견 진단방법오십견 치료방법오십견 치료 운동법오십견의 예방과 생활 관리법1. 오십견이란 무엇인가요?오
health.nicoladavid.com
- 반복적인 손목 사용: 컴퓨터 작업, 조리, 청소 등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활동.
- 운동: 테니스, 골프, 배드민턴 등 라켓을 사용하는 스포츠.
- 직업적 요인: 목수, 요리사, 정원사 등 손목과 팔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군.
- 잘못된 자세: 운동 시 잘못된 자세나 기술 부족으로 인한 부하 증가.
3. 테니스엘보 증상
테니스엘보의 주요 증상은 팔꿈치 바깥쪽의 통증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팔꿈치 외측 통증: 팔꿈치 바깥쪽 돌출 부위에 통증이 집중됨.
- 방사통: 통증이 아래팔이나 손목까지 퍼질 수 있음.
- 악력 감소: 물건을 잡거나 들 때 힘이 약해짐.
- 일상 동작 시 통증: 문 손잡이를 돌리거나 컵을 들 때 통증 발생.
4. 테니스엘보 검사 및 진단 방법
테니스엘보는 주로 임상 증상과 이학적 검사로 진단됩니다.
① 이학적 검사
- Cozen's Test: 팔꿈치를 곧게 펴고 손목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 저항을 가하면 통증이 유발됨.
- Mill's Test: 팔꿈치를 곧게 펴고 손목을 굽힌 상태에서 팔을 내리면 통증이 유발됨.
② 영상 검사
- X-ray: 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됨.
- MRI: 힘줄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됨.
5. 테니스엘보 치료법
테니스엘보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① 보존적 치료
- 휴식: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을 피하고 팔꿈치를 쉬게 함.
- 냉찜질: 염증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 하루 2회, 15분간 적용.
-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복용.
- 물리치료: 초음파 치료, 전기자극 치료 등.
- 보조기 착용: 팔꿈치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팔꿈치 밴드나 보조기 사용.
② 주사 치료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염증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나, 반복적인 주사는 힘줄 약화를 초래할 수 있음.
- 프롤로테라피: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자극 물질을 주입.
③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큰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손상된 힘줄을 제거하거나 복구하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부터 치료법까지
목차손목터널증후군이란?손목터널증후군 원인손목터널증후군 증상과 진행 단계손목터널증후군 진단 방법과 검사 종류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비수술적)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수술적)예방
health.nicoladavid.com
6. 테니스엘보 운동치료법
테니스엘보(외측상과염)는 팔꿈치 외측의 힘줄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운동치료는 이러한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돕고 재발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는 테니스엘보에 효과적인 운동치료법을 소개합니다.
① 손목 신전근 스트레칭
- 방법: 팔을 앞으로 뻗고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게 한 후, 반대 손으로 손등을 아래로 부드럽게 눌러줍니다.
- 유지 시간: 15~30초간 유지하며 2~3회 반복합니다.
이 스트레칭은 손목 신전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팔꿈치 외측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② 손목 굴곡근 스트레칭
- 방법: 팔을 앞으로 뻗고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한 후, 반대 손으로 손바닥을 아래로 부드럽게 눌러줍니다.
- 유지 시간: 15~30초간 유지하며 2~3회 반복합니다.
이 스트레칭은 손목 굴곡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팔꿈치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③ 등척성 손목 신전 운동
- 방법: 팔꿈치를 90도로 굽히고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반대 손으로 아픈 손의 손등을 눌러 저항을 줍니다. 이때 아픈 손은 그 저항에 맞서 힘을 줍니다.
- 유지 시간: 5초간 힘을 주고, 5초간 휴식합니다. 이를 10회 반복합니다.
이 운동은 손목 신전근의 근력을 강화하고, 팔꿈치 외측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④ 손목 저항 운동
- 방법: 가벼운 덤벨이나 물병을 손에 쥐고, 손목을 천천히 위로 들어올렸다가 천천히 내립니다.
- 반복 횟수: 10회씩 2세트 진행합니다.
이 운동은 손목과 팔꿈치 주변 근육의 근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일상적인 활동에서의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⑤ 어깨 및 등 근육 강화 운동
테니스엘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깨와 등 근육의 강화도 중요합니다.
- 방법: 밴드를 이용한 로우(row) 운동이나, 팔을 뒤로 젖히는 운동 등을 통해 어깨와 등 근육을 강화합니다.
- 반복 횟수: 10회씩 2세트 진행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팔꿈치에 가해지는 부담을 분산시키고, 전반적인 상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치료는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천천히 진행해야 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꾸준한 운동과 올바른 자세 유지는 테니스엘보의 예방과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